티스토리 뷰
오늘은 해킹의 기본적인 리눅스의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 사용하는것처럼 윈도우나, 맥을 사용할떄는 Graphical User Interface(GUI)를 통해 다소 편리하게 사용하지만 보안을 공부하면서 전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Character User Interface(CUI)를 사용하게 된다.
1. sudo apt update
- apt 명령어로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합니다.
2. sudo apt upgrade
- 리눅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버젼을 업그레이드 합니다.
3. id
- 현재 유저의 유저ID와 해당 유저가 속해있는 그룹ID를 출력합니다.
4.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줄임말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5. ls [플래그]
- List의 줄임말로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 -l 플래그를 추가하여 "ls -l" 와 같이 실행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함께 출력합니다.
6. cd [경로]
-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로 작업중인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 절대경로 : 루트 디렉토리 / 를 시작으로 모든 경로를 적어서 표현하는 경로
- 상대경로 : 현재 디렉토리 기준으로 상위 디렉토리 또는 하위 디렉토리로 뻗어 나가는 경로
7. mkdir [이름]
- Make DIrectory의 줄임말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8. touch [이름]
- touch 명령어는 비어있는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9. mv [새로운 경로/이름] [현재 경로/이름]
-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 위치를 옮길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또는 이름을 변경할때도 사용합니다
10. rm {플래그} [이름]
- Re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 디렉토리는 "-r" 플래그를 추가한 "rm -r" 를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11. cat [경로]
-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12. file [경로]
- 파일의 유형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13. echo [내용]
- 셸에 유저가 입력한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14. cp {플래그} [파일명]
- Copy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 디렉토리는 "-r" 플래그를 추가한 "cp -r" 를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15. grep [문자열] [파일]
- 전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을 떄 사용합니다
16. man
- Manual의 줄임말로 특정 명령어의 메뉴얼을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17. curl [옵션] URL
- Client URL의 줄임말로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데이터 전송 명령어 입니다.
- -o file : 전송 받은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합니다.
- -i : 결과 값에 HTTP 응답 헤더를 포함합니다.
- -X "method" : HTTP 요청 메소드를 지정합니다.
- -d "key=value" : HTTP POST 메소드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18. 와일드 카드
- 와일드카드는 리눅스에서 임의의 다른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특수 문자를 의미합니다,
? : a-z, 0~9 범위 내 임의의 1개 문자로 대체됩니다.
ex) cat he?lo
* : a-z, 0-9 범위 내 임의의 0개 이상 문자로 대체됩니다.
ex) cat h*
[] : [문자1-문자2] 혹은 [문자1, 문자2, …] 형태로 범위를 지정합니다. 범위 내 모든 문자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ex) ls test[0-9] ====> test1 test2 test3.....
19. 리다이렉션
- 리다이렉션은 모니터에 나타나는 표준 출력 혹은 키보드로 입력하는 표준입력을 다른 곳으로 변경하는 작업입니다.
명령어 > 파일 : 명령어 표준 출력을 파일로 변경합니다.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고, 있으면 덮어씁니다.
명령어 >> 파일 : 명령어 표준 출력을 파일로 변경합니다.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고, 있으면 이어서 씁니다.
명령어 < 파일 : 명령어 표준 입력을 파일로 변경합니다. 파일로부터 표준 입력을 받아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20. 파이프
- 파이프(pipe)는 리다이렉션의 한 형태로, 명령어 결과 표준 출력을 다른 명령어의 표준 입력으로 보낼 때 사용합니다. 파이프는 | 문자로 나타냅니다.
21.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drwxrwxr-x : 권한 플래그 ==> d rwx rwx r-x
- d rwx rwx r-x
=> 파일의 타입을 나타냄. d는 디렉토리, - 는 일반 파일, l 은 바로가기와 같은 링크 파일
- d rwx rwx r-x
=> 소유자의 권한
- d rwx rwx r-x
=> 소유 그룹에 포함된 유저들의 권한
- d rwx rwx r-x
=> 나머지 유저들의 권한
권한을 나타내는 각 문자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r: 소유자(또는 소유 그룹에 포함된 유저들 또는 그외 유저)가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읽기(Read) 권한을 가집니다.
w: 소유자(또는 소유 그룹에 포함된 유저들 또는 그외 유저)가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쓰기(Write) 권한을 가집니다.
x: 소유자(또는 소유 그룹에 포함된 유저들 또는 그외 유저)가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실행(Execute) 권한을 가집니다.
22. chmod 권한 파일명
-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root 유저 혹은 파일의 소유자만 실행가능합니다.
23. chown 사용자명[.그룹명] 파일명
- 파일 소유자 혹은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개발 > 해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버스 엔지니어링 (3) (0) | 2024.01.29 |
|---|---|
| 리버스 엔지니어링 (2) (0) | 2024.01.29 |
| 리버스 엔지니어링 (1) (0) | 2024.01.19 |
- Total
- Today
- Yesterday